본문 바로가기

트랜잭션2

#11. [DB] Transaction의 Isolation level 1. Transaction의 Isolation level이란? Isolation level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트랜잭션이 실행될 때, 각각의 트랜잭션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설정이라고 보면 된다. 트랜잭션이 실행되면 해당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다른 트랜잭션들도 동시에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랜잭션들 간의 상호작용을 제어하기 위해 Isolation level을 설정한다. 2. Isolation level (1) Read uncommitted (레벨 0) : - 각 트랜잭션에서의 변경 내용을 Commit/Rollback 여부에 관계없이 다른 트랜잭션에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 Dirty rea.. 2023. 3. 15.
#10. [DB] Transaction과 ACID 1. Transaction이란? Transaction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실행되는 작업의 단위이다. 하나 이상의 쿼리를 묶어서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가장 많이 드는 예로 은행 계좌이체 수행시, 송금자의 계좌에서 금액을 감소 + 수신자의 계좌에서 금액 증가를 하나의 작업으로 묶어서 실행하는 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것을 뜻한다. * 데이터의 무결성 : 데이터 무결성은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 유효성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하며, 정확성이란 중복이나 누락이 없는 상태를, 일관성은 원인과 결과의 의미가 연속적으로 보장되어 변하지 않는 상태를 뜻한다. 2. ACID? ACID는 Transaction의 4가지 특성인 A(Atomicity, 원자성), C(Consi.. 2023. 3. 14.